목록Python/문법 (33)
KEK 개발로그

사용자 입력과 출력 - input 1. 사용자 입력 - 사용자 입력에 따라 그에 맞는 출력을 내보내는게 중요! >> ex. 게시판에 글을 작성 후 '확인' 버튼을 눌러야(입력) 글이 게시판에 올라가는 것(출력) -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어떤 변수에 대입하고 싶을 때 : >> input 사용 >> 형태: input() >> input은 입력되는 모든 것을 문자열로 취급한다. a = input() # 3을 치면 print(a) # 3 출력됨 - 프롬프트를 띄워서 사용자 입력 받기 >>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안내문구, 질문을 입력하여 프롬프트를 띄워준다. >> 형태: input("질문내용") # 프롬프트 number = input("숫자를 입력하세요: ") # 숫자를 입력하세요: 3(입력) print(numbe..

함수 3 - 매개변수 설정, 함수 안 변수, global, lambda 1. 매개변수에 초깃값 미리 설정하기 - 매개변수 초깃값 설정: 매개변수에 미리 값을 넣어 줌. >> 왜?? 함수의 매개변수에 들어갈 값이 항상 변하는 것이 아닐 경우에는 함수의 초깃값을 미리 설정해주면 유용하다. # 매개변수 초깃값 설정 def say_myself(name, old, man=True): print("나의 이름은 %s 입니다." % name) print("나이는 %d살입니다." % old) if man: print("남자입니다.") else: print("여자입니다.") say_myself("홍길동", 22) # 남자입니다. say_myself("홍길동", 22, True) # 남자입니다. say_myself("홍길동..

함수 2 - 입력값, 결과값, 파라미터, return문 1. 입력값, 결과값에 따른 함수 형태 - 함수: 들어온 입력값을 받아 어떤 처리를 하여 적절한 결과값을 돌려준다. >> 입력값 --> 함수 --> 결과값 - 입력값, 결과값 유무에 따라 4가지 형태의 함수가 있다. 1) 입력값O, 결과값O (일반적인 함수) # 일반적인 함수 예 def add(a, b): result = a + b return result a = add(3, 4) print(a) # 7 >> 일반적인 함수 사용: 결과값을 받을 변수 = 함수이름(입력인수1, 입력인수2, ...) >> 결과값을 받은 변수를 출력하는 것! 2) 입력값X, 결과값O - 매개변수X (괄호 안에 아무 값도X) 입력값이 없는 함수 def say(): retur..

함수 1 - 함수, 매개변수, 인수 1. 함수 - 함수: 입력값을 가지고 어떤 일을 수행한 다음 결과물을 내놓는 것. -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 >> 프로그래밍을 할때, 프로그램에서 가치있게 반복되는 부분을 한 뭉치로 묶어주기 위해서 - 함수의 장점 >> 프로그램을 함수화 하면 프로그램의 흐름을 잘 파악할 수 있다. >> 오류가 어디에서 났는지 빠르게 알 수 있다. >> 함수를 잘 사용하고, 함수를 적절하게 만들 수 있는 사람 = 능력 있는 프로그래머! 2. 파이썬 함수의 구조 >> def: 함수를 만들 때 사용하는 예약어 >> 함수명: 함수를 만드는 사람이 임의로 만들 수 있음 >> 매개변수: 함수에 입력으로 전달되는 값을 받는 변수(괄호 안에 적어줘야 함) # add 함수 만들기 def add(a, b..